본문 바로가기
국어 문법

말소리의 음성,음절,음운은 대체 무엇일까?

by @■♤$ms# 2022. 4. 23.
반응형

말은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말은 작은 차이만 있어도 표현하는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우리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한 말에 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이 내는 "말소리"를 다른 말로 "음성"이라고 합니다.

음성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고 있습니까?

음성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안다면 정확한 말로써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사람의 말소리 - 의미를 전달는 도구"

"사람의 말소리 =  음성 ---> 음운(자음 : ㄱ,ㄴ,ㄷ...) (모음 : ㅏ,ㅑ,ㅓ...) + 음운 =음절 (아,각,여,설...)

 

*음성과 소리*

"말소리"란 사람이 말할 때 내는 소리를 말합니다.

사람의 입을 통해 나오는 말소리의 또다른 이름은 "음성"입니다.

자동차 엔진 소리, 고양이가 우는 소리, 비 오는 소리등은 음성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사람이 내는 소리라고 해도 재채기 소리,기침 소리등은 음성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의 울음 음성, 아버지의 고함 음성  이렇게 쓰지는 않습니다.

"아이의 울음소리, 아버지의 고함소리"라고 써야 자연스럽습니다.

이런 소리들은 사람의 발음 기관 통하여 만들어 지는 소리이긴 하지만, 뜻을 전달하는 말을 하는데

쓰이는 소리가 아니기 때문에 "음성"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음운과 음절*

음운-말 뜻의 차이를 가져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물" "불" 이라고 말하는 소리를 듣게 된다고 생각해봅니다.

사람들의 음성에 따라 높고 낮은 차이가 있고, 굵고 가는 차이, 또는 빠르고 느린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음성으로 말하든 "물" 이라고 하면 누구나 바다나 마시는 물 같은 것을 떠올리게 됩니다.

"불"이라고 하면 모닥불, 화재 현장과 같은 장면을 떠올리게 됩니다.

'물'과 '불'은 'ㅁ'과 'ㅂ'의 차이만 있을뿐인데,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말의 의미 차이를 가져오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를 음운이라고 합니다.

 

각 글자의 첫소리인 'ㅁ'과 'ㅂ' 'ㅎ' 'ㅅ'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데 첫 소리뿐만 아니라

즉 자음과 모음이 음운에 포함이 됩니다.

 

또 한가지 말의 길이나 높낮이가 있습니다.

자음과 모음과 같이 소리값을 가지지는 않지만 단어나 문장의 뜻을 구별하는데 쓰이기도 하고 

정서를 표현하는 요소로 쓰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말 (동물)은 짧게 소리내고

말 (언어)는 길게 소리를 냅니다.

눈 (얼굴의 눈)은 짧게 소리를 내고

눈 (내리는 눈)은 길게 소리를 냅니다.

 

음운은 같지만 소리를 짧게 또는 길게 내는것으로 뜻이 달라지게 됩니다.

 

음절-소리의 단위가 된다.

'깊은 산 맑은 물'을 소리나는 대로 적어보면 [기픈산말근물]이 됩니다.

이 때의 '기,픈,산,말,근,물' 처럼 한 뭉치로 이루어진 각각의 소리 덩어리를 음절이라고 합니다.

즉 발음할 때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를 뜻합니다.

국어에서는 음절이 만들어지려면 반드시 모음이 있어야 합니다.

음절은 모음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도 있고, 모음을 중심으로 그 앞뒤에 자음이 연결되어서이루어지는것도 있습니다.

자음은 혼자서는 음절이 될 수 없으므로 모음의 앞이나 뒤에 연결해야 합니다.

국어의 음절은 '자음 + 모음 + 자음' 의 모양으로 되어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면

모음 : 아,야, 어,여,오...

자음+모음 : 그,나,더,러,무...

모음+자음 : 안,약,양,음,일...

자음+모음+자음 : 굴,돈,명,숙...

 

우리말은 모음이 있어야 음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위 네가지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모음'이 나타납니다.

음절의 수는 모음의 수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음절의 수는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글자의 수를 세면 음절의 수를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집 앞으로 맑은 물이 흐른다' [지바프로말근무리흐른다] ---> 음절의 수는 : 11개가 됩니다.

 

반응형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의 9품사  (0) 2022.04.27
국어 기초 어휘  (0) 2022.04.26
발음규칙3탄 사잇소리  (0) 2022.04.26
발음규칙2탄 - 구개음화 모음동화  (0) 2022.04.25
발음규칙 1탄 - 두음 법칙 자음 동화  (0) 2022.04.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