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연꽃 (한약명 : 검인)
가시연꽃이라는 이름은 과실과 잎에 가시가 있는 연꽃이라는 뜻에서 온 것이다. 수련 목 수련과에 속하는 한 해살이 수생식물로 연못에서 자란다.
▶특징
뿌리줄기는 짧고 주근 (뿌리의 몸통 부분)과 측근 (원뿌리에서 갈라져 나간 작은 뿌리)이 구별이 가지 않는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잎의 지름은 20~120cm 정도 되며, 타원형으로 물 위에 뜬다.
잎 앞 표면은 광택이 나며 주름져있고 뒷면은 흑자색으로 잎의 양쪽 편 잎맥 (양분이나 수분이 지나는 통로) 위에 가시가 있다. 꽃은 7~9월에 긴 꽃줄기 끝에서 1개씩 피며, 밝은 보라 자주색이며 지름 3~4cm가 되며 낮에는 잎이 벌어졌다가 밤에는 오므라든다.
꽃받침은 꽃잎보다 크며 4개가 있고, 밑 부분이 통 모양에 꽃잎은 많이 있다.
꽃잎 안쪽 짧은 수술대에 여러 개의 수술이 달리고 암술은 8개이다. 긴 타원형의 꽃밥이 있다
열매는 타원형이거나 원형으로 길이가 5~7cm 정도이며, 열매 끝에는 꽃받침 흔적이 뾰족하게 남아 있으며 가시가 있다
열매는 흑색으로 딱딱하고 씨앗은 둥글다.
성숙한 과실은 터져서 가종피 (씨의 겉 부분을 둘러싸 종피처럼 보이는 특수한 껍질)을 갖는 많은 종자가 물에 뜬다.
일정기간 떠다니다가 종피가 썩거나 터져서 물이 들어가면, 종자는 물 밑으로 가라앉았다가 다음 해 4~7월에 발아(싹을 틔운다) 한다. 첫 해에는 20%, 다음 해에는 50%가 발아하며, 3년 뒤부터는 많이 발아한다. 종자는 담갈색으로 모양은 완두콩과 비슷하며, 무게는 0.5g 정도이고 질은 단단하며 냄새가 없고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보통이다.
10 ~ 11월에 열매를 채취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종자만 꺼내 햇볕에 말렸다가 허약체질, 대하, 통풍, 소변 실금 등의 증상에 탕, 환, 산제로 복용한다.
가시연꽃은 아시아 특산으로 오직 1 속 1종이 희귀 식물로 물 밑이 진흙인 1,2m의 못에서 산다. 우리나라에서는 진주, 대구, 익산, 경산, 함평, 나주, 화성, 강릉 등에 나며 강릉 풍호가 자생지의 북방한계선이다.
특히 풍호는 강릉 교외에 있는 자연호로 가시연꽃의 자생지 북방 한계선이고 예전에는 이곳에서 많은 종자를 약재로 채취하였으며, 강릉향교의 10월 대제 (제사) 때 제물로 진상 (진귀한 물품이나 지방의 특산물을 받치는 것) 해왔다고 한다.
현재 가시연꽃은 멸종위기 야생 식물로 지정되어 있어 보전이 필요하다.
▶식물명 및 학명 : 가시연꽃 Euryale ferox Salisbury
▶과명 : 수련과
▶약용 부위 : 잘 익은 씨
▶한약명 : 검인(芡仁)
▶라틴생약명 : Euryales Semen
▶이명 또는 영명 : Euryale Seed
※한방 특성
. 한방 맛과 성질 :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보통이다.
. 한방 작용 부위 : 검인은 주로 비장, 신장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
. 한방 효능 : 1. 신기(腎氣)(콩팥, 남자의 생식기, 고환)를 보충하고 정액 배출을 억제한다.
(무의식 중에 정액이 몸 밖으로 나오는 증상(유정)에 활용한다) 흔히 몸이 허약할 때 일어난다고 한다.
2. 소변이 나오는 것을 참거나 가누지 못하여 흘리게 되는 증상에 쓰인다.
(소변을 지리는 유뇨, 소변을 자주 보는 빈뇨에도 유효하다)
3. 비(脾)를 보하고 설사를 멎게 한다.
(비장의 기능의 허약으로 인해 설사가 나는 것에 사용한다.)
4. 습기를 없애고 냉을 멎게 한다.
(자궁에서 분비물이 나오는 증상을 낫게 한다)
☞냉 (질 분비물을 일으는 말) 냉이 많을 경우는 대하증이라고도 한다. 냉은 여성에게 나타나는 정상적인 생리적 현상이나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질 내에는 정상적인 유산균(유익균과 유해균)이 살고 있는데 질내 면역력이 떨어지면 균형이 깨지면서 몸의 이상신호를 보내게 된다.
질내 정상 유익균에 도움이 되기 위해 질내 유산균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도 도움의 한 가지라 생각한다.
산부인과 진료 시 선생님께서 항상 하시는 말씀은 통풍이 잘되도록 해야 하므로 너무 꽉 끼는 옷은 입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씀해주신다. 또한 과도한 업무나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충분한 수면을 못했을 때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냉이 나오기도 한다. 면역력은 우리 건강에 기본이 되어야 한다.
※동의보감 효능
검인(芡仁, 가시연밥)의 성질은 보통이고 맛은 달며 독이 없고 정기를 보하고 의지를 강하게 한다. 또한 눈과 귀가 밝아지게 하고 몸이 가벼워지고 노화를 방지하며 오래 살게 한다.
※ 약용 법
씨 15~30g을 물 800mL에 넣고 달여서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마시거나 또는 적당량을 죽과 밥으로 해서 먹는다
◎주의사항
검인은 기운의 흐름을 고정하는 특성이 있어 몸에 열이 많거나 맥이 강한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고 출산 후에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가시연꽃 꽃말 : 청정, 신성, 순결, 번영, 장수, 그대에게 행운을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르텍 알레르기성 비염 (0) | 2022.05.25 |
---|---|
판콜에이(A)내복액, 판콜에스(S)내복액 차이점 (0) | 2022.05.24 |
타이레놀500mg 이알서방정 (아세트아미노펜) 해열제 효능효과 (0) | 2022.05.18 |
댓글